165억 환수커녕 100억 추가…송백회가 예총 '뒤' 봐줬나 » 1996년 정부지원금 165억원을 받아 짓기 시작했다가 재원 부족 등으로 1999년 이후 사실상 공사가 중단된 뒤 올해 다시 짓기 시작한 ‘대한민국 예술인센터’의 서울 양천구 목동 공사현장.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009년 말 국회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한국예총)에 ‘대한민국 예술인센터.. 이슈·시사·뉴스 2011.01.12
대한민국 함바집에 숨겨진 비밀 대한민국 함바집에 숨겨진 비밀 요즘 ‘함바집’이 시끄럽죠? 경찰청장에 이어 현직 차관급, 공기업 사장 실명까지 이제 기사에서 거론되고 있습니다. http://j.mp/gURH5o 함바집이 그냥 함바집이 아닙니다. 대한민국 건설부패가 얼마나 심각한지, 그래서 우리의 소중한 세금이 그 같은 부패를 통해 어떻게.. 이슈·시사·뉴스 2011.01.11
한국 축구, 아시안컵 51년 잔혹사 영화에선 잔혹사의 무대가 '말죽거리'였다면 한국축구 잔혹사의 무대는 ‘아시안컵’이었다. 한국축구는 1,2회 대회인 1956년과 1960년 아시안컵 챔피언에 올랐다. 하지만 그 뿐이었다. 우승의 기억조차 흐릿해진, 반세기 동안 정상 고지를 밟지 못했다. 아시아 국가 월드컵 본선 최고 성적과 최다 연속 .. 이슈·시사·뉴스 2011.01.08
민족혼 고취시킨 국민동요 '산토끼' 민족혼 고취시킨 국민동요 '산토끼' 산토끼 토끼야 어디를 가느냐 깡총 깡총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 산고개 고개를 나혼자 넘어서 토실토실 알밤을 주워 올테야 신묘년 (辛卯年) 토끼해를 맞아 국민 동요 '산토끼'의 탄생 배경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이 노래는 일제 강점기였던 1928년 가을 창녕군 이방.. 이슈·시사·뉴스 2011.01.05
함께 이루자 함께 이루자[중앙일보] 2011.01.01 밝아오는 여명 속에서 두물머리의 물이 빛나고 있다. 지난 밤 너와 내가 흘러온 곳은 달라도 하나로 합쳐 흐르는 두물머리의 물처럼 우리도 하나로 가야 한다. 하나된 흐름이 도도한 한강의 물줄기가 되어 저 큰 바다로 나아갈 때 수많은 바다생물과 함께 노래하리라. [.. 이슈·시사·뉴스 2011.01.03
[문화계 10대 뉴스] ‘문화 역주행’에 분노하고, 신한류 바람에 신바람 [문화계 10대 뉴스] ‘문화 역주행’에 분노하고, 신한류 바람에 신바람 » 문화계 10대 뉴스1(*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그림 김영훈 기자 kimyh@hani.co.kr 문화계만이라도 즐겁고 유쾌할 수는 없었던 것일까. 사회 전반적으로 무겁고 가슴 답답해지는 뉴스가 많았던 2010년, 문화계 역시 어두운 소.. 이슈·시사·뉴스 2010.12.30
문화계 10대뉴스와 지그미 틴레이 부탄 총리의 유엔 총회 연설 “인류 행복, ‘균형 조정’에 달렸다” 지그미 틴레이 부탄 총리의 유엔 총회 연설 내용 ‘화제’…미국 제프리 삭스 교수도 ‘맞장구’ [1105호] 2010년 12월 22일 (수) 조홍래│편집위원 ▲ 지난 9월20일 열린 유엔 총회에서 지그미 틴레이 부탄 총리가 ‘밀레니엄 개발 목표’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 이슈·시사·뉴스 2010.12.30
노벨문학상을 받을 자격이 없는 나라 노벨문학상을 받을 자격이 없는 나라 대전일보 원문 기사전송 2010-10-31 윤성희, 충남문인협회 회장?문학평론가 지난 10월 초는 노벨문학상 수상에 대한 기대가 유난히 높았던 계절이었다. 해마다 노벨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던 시인 고은도 남다른 감회를 가지고 있었을 터였다. 수상자 발표.. 이슈·시사·뉴스 2010.11.01
'10년 2기부가가치세 예정신고시 전자세금계산서 관련 신고안내 '10년 2기부가가치세 예정신고시 전자세금계산서 관련 신고안내 안녕하십니까? 많은 사업자들께서 전자세금계산서를 이용해주셔서 전자세금계산서 제도가 점차 사회적 기반을 확립해 나가고 있는 점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0년 10.1~10.25일은 2010년 2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기간으로 전자.. 이슈·시사·뉴스 2010.10.19
버스 도착 시간을 아는 가장 빠른 방법 버스 도착 시간을 아는 가장 빠른 방법 서울시 버스정류소 6,300여곳 QR코드 설치 조선기 | 2010.10.12 '버스가 언제 올까?’ 버스정류소에 서 있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 목적지는 달라도, 자신이 타야 할 버스를 기다리는 건 모두 같다. 며칠 전 김나영 씨는 버스정류소에 부착된 QR코.. 이슈·시사·뉴스 201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