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카메라 공개를 거부하고 있는 올림픽 공식 기록 계측 업체인 오메가는 마이클 펠프스의 후원업체다"
미국의 뉴욕타임즈는 8관왕의 위업을 달성한 마이클 펠프스에 대한 승부조작 의혹을 제기하며 21일 이 같이 보도했다.
문제가 되는 경기는 지난 16일 남자 접영 100m 경기.
이날 경기에서 마이클 펠프스는 지난 16일 접영 100m 경기에서 밀로라드 카비치(세르비아)를 100분의 1초차로 꺾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뉴욕타임즈는 “펠프스와 그의 스폰서 가운데 하나이자 올림픽 공식기록계측업체인 오메가와의 부적절한 관계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오메가가 불필요한 의혹의 불씨를 남겼다. 선수가 자신의 게임 성적을 결정하는 장비업체로부터 돈을 받고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꼬집었다.
이날 펠프스는 2위를 차지한 밀로라드 카비치(세르비아)에게 0.01초 차로 역전승을 거뒀지만 당시 확인된 중계 방송 화면으로는 펠프스가 카비치와 동시에 터치패드를 찍었거나, 카비치보다 늦게 터치패드에 손이 닿은 듯 보였다.
하지만 결과는 펠프스가 금메달을 거머쥐는 것으로 돌아갔고 이날 경기 결과로 인해 펠프스는 8관왕 수영 신화에 등극했다.
당시에도 “기록계측장비의 오작동 가능성에 대해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일부 의견이 제기 된 바 있다.
뉴욕타임즈는 "오메가는 시합 당일 수중카메라 기록을 공개하기로 했다가 뒤늦게 이를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문제 제기에 대해 오메가 측은 “경기 결과를 결정하는 데 있어 인간이 개입할 소지는 전혀 없다”고 일축하면서 “기록 공개를 거부한 것은 국제수영연맹(FINA)의 방침에 따른 것일 뿐”이라고 강력히 주장했다.
펠프스 역시 "모든 것은 명백하기 때문에 승부 조작 의혹에 대해 대답할 가치가 없다"며 일축했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는 문제의 경기화면은 공개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펠프스는 이번 올림픽 8관왕을 이루며 어린시절 행동장애로 인해 수영을 시작, 오늘의 그가 있기 까지의 과정이 국내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