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직업·마케팅

아웃소싱의 개념

올소맨 2008. 2. 2. 20:45

본 자료는 1998년 현재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아웃소싱의 활용 실태와 아웃소싱 

산업 현황' 중 해당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

○ 등장 배경

 - 아웃소싱(Outsourcing)은 기업 구조 조정의 한 수단으로서 등장하였으며, 특히 1980년대 이래의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아웃소싱 계기로 본격화되었으며, 최근에는 기업의 거의 모든 업무가 아웃소싱 대상이 될 정도로 활성화되고 있음

 

○ 개념의 진화 현황과 전망

 - 아웃소싱의 확대 적용 추세에 따라 「개념」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추세임

  ․정보서비스 중심의 개념 정의에서 벗어나 점차 발주 기업의 전략성과 공급 기업의 전문성이 강조되는 의미로 진화되고 있음

 - 현재는 아웃소싱 발주업체와 공급 업체간의 수직 분업적인 관계로 아웃소싱 개념이 표현되지만, 향후에는 수평 분업적인 관계로 표현되는 코소싱(Co-sourcing) 개념으로 진전될 것으로 전망됨

 

○ 우리 나라에서 아웃소싱 개념의 적용

 - 지금까지 아웃소싱의 추세를 종합해볼 때, 아웃소싱 개념에는 필요 조건(활용 기업의 전략성)과 충분 조건(공급 기업의 전문성)이 포함되어야 함

 -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다루는 아웃소싱 개념은「기업 등이 ① 핵심 업무에 경영 자원 집중, ② 업무의 전문성 확보, ③ 비용 삭감 등 명확한 전략적 목적을 가지고, 조직 기능 및 업무 일체(설계에서 운영까지)를 자회사 이외의 전문 공급 업자에게 장기적으로 위탁하는 것」으로 정의함

 - 그런데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아웃소싱은 유사 개념(컨설팅, 인재파견, 대행, 외주)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럴 경우에 아웃소싱은 ‘아웃소싱 관련 분야’로 통칭되기도 함

 

□ 아웃소싱 현상의 등장 배경

 

- (등장 배경) 아웃소싱 현상은 기본적으로 기업 구조 조정의 한 수단으로서 등장했으며, 특히 1980년대 말부터 정보시스템의 일괄 위탁을 계기로 본격화되었음

  ․미국에서는 80년대 이래로 기업경영 혁신(리엔지니어링 붐)이 한창인 가운데, 이스트만코닥이 1989년 IBM에게 정보시스템의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아웃소싱이 시초였음. 일본에서는 1989년 Seven Eleven Japan이 野村總合硏究所에게 정보시스템 분야를 일괄 위탁한 것을 계기로 본격화되기 시작했음

 

․우리 나라에서도 IMF 경제 위기로 기업 구조 조정이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1998년 SK와 대한항공이 한국IBM에게 전산 부문을 아웃소싱하면서 본격적인 관심이 보이고 있음

 - (적용의 확대) 아웃소싱은 종래에는 부수적 분야를 중심으로 일부 업무에서만 활용되었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을 계기로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활용되기 시작했음1)

  ․종래에는 시설 관리, 일부 전문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아웃소싱이 활용되고 있었으나, 정보시스템의 아웃소싱을 계기로 아웃소싱 활용 기업의 전략적 적용이 활발해지고, 뉴 비즈니스로서 전문 아웃소싱 기업이 등장함으로써, 아웃소싱 활용 분야가 크게 확대되고 있음

  ․즉 관리 업무(경리, 총무, 민사, 급여 계산), 복지후생, 교육 연수, 연구개발 등 예전에는 기대할 수 없는 기업의 전 부문이 아웃소싱의 대상이 되고 있음(<표1-1> 참조)


□ 개념의 진화 현황과 전망


 - (개념의 진화) 초기에는 정보 서비스를 중심으로 아웃소싱 개념이 정의되다가 점차 적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개념의 정의도 진화되고 있는 상황임

  ․아웃소싱(outsourcing)이란 문자 그대로는 외부(out) 자원(source)의 활용이라고 풀이되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존재하지 않은 상태임. 즉 아웃소싱 활용이 활발한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개념 정의가 다각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일치된 정의는 없는 상태임

  ․왜냐하면 그 이유는 아웃소싱 활용 대상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개념 정의도 성장․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상태임

  ․다만, 아웃소싱 현상은 기업 내부 자원에 입각한 종래 기업 이론으로는 해석될 수 없는 새로운 영역2)이라는 사실임

 

1) 이런 점에서 아웃소싱은 정보화의 진전, 특히 IT(Information Technology)의 발전에 따른 하나의 파급 양상으로도 해석될 수 있음

 

2) 기업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이론적 토대는 E. Penrose(The Theory of Firm, 1959)에 의해 정립되었음. 그녀에 따르면, 기업이란 “여러 생산적인 경영 자원의 집합체”로 정의되고, 기업의 성장은 경영 자원의 적극적 활용 결과임. 그런데 이 때의 경영 자원은 기업 ‘내부’에 있는 것에 한정한 것이며, 기업 ‘외부’ 경영 자원과는 무관함. 기업 외부 경영 자원까지를 포함하는 아웃소싱 현상은 종래 기업 이론의 수정을 요구함. 기업 경계를 패쇄적으로 간주할 것인지, 아니면 개방적으로 수용해야 할 것인지가 쟁점이 될 것임

 

 

 


   <표1-1> 아웃소싱 대상 분야의 확대

   자료:

과거의 아웃소싱(제한된 분야)

최근의 아웃소싱(모든 분야)

● 주변․부대 분야

 ․시설 관리(건물 유지, 청소, 보안)

 ․물류(운송, 보관)

● 전문적 분야

 ․전문 서비스(법무, 회계, 세무, 광고, 시장조사)

 ․정보시스템(시스템 개발․운용)

● 관리 업무

 ․경리, 총무, 인사, 급여 계산

 ․복지 후생

 ․교육, 연수

● 정보시스템

● 연구개발

● 상품 기획, 디자인

● 사업 전략 입안

● 생산, 설계, 구매

● 영업, A/S, 마케팅, 구매, 물류

닛세이基礎硏究所(뉴비지니스협의회, 1997에서 재인용)

     주: 단, 國內外的으로 아웃소싱의 본격화 계기이자 활성화 분야는 정보시스템임


 - (미국의 정의) 초기에는 다소 애매하게 정의되거나 주로 정보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의되다가 점차 일반적인 내용으로 정의가 진화되고 있음1)

  ․T.D.Clark & R.W.Zmud(1991): 정보서비스의 아웃소싱이란 정보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기술 자원과 인적 자원에 관해서, 해당 조직으로부터 (벤데 또는 시스템 integrator와 같은) 외부 담당자에게 정보시스템 책임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것임

  ․U.M.Apte(1992): 정보시스템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제3자의 청부인에게 이전하는 것 

  ․The Outsourcing Institute(1995): 아웃소싱의 정의는 과거 5년 동안 발전하여 왔음. 예전의 아웃소싱은 문제가 있던 대기업이 사용하는 것이었음. 최근의 정의는 최근 성공한 기업도 도움을 받고 있는 전략적인 수단임

  ․The Outsourcing Institute(1996): ‘규모의 추구에서 전문 분야 추구로’, ‘통합에서 네트워크로’, ‘저비용에서 큰 가치로’ 등, 기업 포커스를 再定義하기 위한 수단이고, 전술적으로 단기적인 것과 전략적으로 장기적인 것이 있음

3) 닛세이基礎硏究所(뉴비지니스협의회, 1997에서 재인용)

- (일본의 정의) 일본에서도 정보시스템 중심의 정의에서 점차 다른 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특징적인 점은 발주자측의 전략성만이 아니라 공급자측(또는 벤더측)의 전문성 여부가 강조되고 있음

  ․노무라총합연구소(1992): 유저 기업의 基幹 業務의 전부, 혹은 일부의 업무를 일괄하여 위탁하는 서비스이고 시스템 운용의 포괄적 책임이 벤더측에 있음

  ․島田達已(「아웃소싱戰略」, 1995) 정보시스템에 관해서 유저가 벤더와 계약을 맺고, 장기간에 걸쳐 계약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

  ․닛세이 기초연구소(1996): 넓게 잡으면, ‘외부 기능 및 자원의 활용’, ‘기업이 행할 경우, 종래 내제화하고 있던 기능을 명확한 전략적 목적을 가지고 외부화하는 것’

  ․花田光世(「멀티플 코소싱에 의한 미래 조직의 창조」, 1996): 기업에서 전문적인 서비스를 외부 조직으로부터 구하는 것(하다나 모델을 제시함)

  ․社團法人 뉴비지니스協議會(「아웃소싱 산업의 육성에 관한 조사 연구 보고서」1), 1997): 전략적인 아웃소싱이란, 기업 등의 조직이 종래에 내재하고 있던, 또는 새로이 시작하는 기능과 업무에 관해서, ① 핵심(core) 업무에 경영 자원의 집중, ② 전문성의 확보, ③ 비용의 삭감 등의 명확한 전략적 목적을 가지고, 업무의 설계에서 운영까지의 일체를 외부화하는 것


 - (아웃소싱 개념의 미래 전망) 수직형 분업형 아웃소싱 개념은 점차 수평적 공생형 인 co-sourcing으로의 진전될 것으로 전망됨

  ․장기적으로 아웃소싱은 단순히 외부 자원을 활용하여 자사의 업무를 대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서로 협력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과정이 될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아웃소싱 전략은 위탁자와 수탁자의 경영 자원의 교환을 수반하는 조직적 지식의 교류, 즉 조직간 학습을 통하여 상대방의 강점을 흡수, 자사의 강점과 통합함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 즉 co-sourcing으로 진화해 나가야 할 것임

  ․코소싱에서는 서비스 발주자와 제공자간의 관계가 종래의 수직 관계보다는 참여 파트너로서 협동․공생하는 수평적 파트너십이 강조되며 미래의 가상 기업(virtual company)에서 일반화될 거래 방식될 것임

4) 이 보고서는 1996년도에 통산산업성이 뉴비지니스협의회에 위탁한 것임. 위 협의회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학자, 기업 경영자들을 중심으로 아웃소싱위원회(위원장: 花田光世 慶應義塾大學 綜合政策學部 교수)를 구성하고, 각종 문헌 조사, 면담 조사, 앙케이트 조사를 수행하였음

 

<그림 1-1> 아웃소싱의 진화: co-sourcing


           <기업A>                                         <기업B>





                               공생․제휴  



□ 우리 나라에서 아웃소싱 개념의 적용


아웃소싱 개념의 필요․충분 조건: 미국과 일본 아웃소싱 정의의 진전 과정에서 나타난 공통점은 아웃소싱 활용 기업의 전략성(필요 조건)과 아웃소싱 공급 업체의 전문성(충분 조건)의 두 가지 조건1)

 - (필요 조건) 미․일 선진국에서도 외부 기능이나 업무를 외부에서 조달해온 전례는 아웃소싱의 용어가 나오기 이전에도 있었으나 점차 전략성이 강조되고 있음

  ․초기에는 비용 절감의 목적으로만 활용하다가, 정보 시스템과 같은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른 전문적인 노하우의 외부 조달 필요성, 더 나아가 구조조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 업무로의 경영 자원 집중을 위한 아웃소싱으로 진전되고 있음(<그림1-2>)


  <그림1-2> 아웃소싱 활용에서 전략성의 진전도

시기

<초기>

 

<전환기: 80년대말>

 

<진전기>

강조점

비용 절감

IT 기술에 대응

핵심 역량의 강화

 

5) 아웃소싱 개념은 그동안 경영학적 관점(아웃소싱 활용 기업의 관점, 여기서는 필요 조건에 해당)에서 주로 정의되어 왔으나, 아웃소싱 개념의 진전을 좀더 풍부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학 및 정책적 관점(아웃소싱 산업의 관점, 즉 충분 조건에 해당)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것임

 

 

- (충분 조건) 아웃소싱 수요 기업의 외부 기능을 위탁받은 아웃소싱 공급 기업이 자체적으로 해당 업무를 설계하고, 책임지고 운영까지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보유 여부에 해당됨

  ․아무리 아웃소싱 수요가 왕성하게 증가하더라도 경쟁력 있는 공급 업체가 부재(더 나아가 아웃소싱 산업의 취약)하면, 아웃소싱 활용은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을 것임

  ․이런 점에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제도적 환경 조성도 필요하기 때문에 아웃소싱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추진도 필요함 


(개념의 종합적 이해) 아웃소싱 개념의 필요․충분 조건은 다음 <그림1-3>의 도식적 구조를 통해서 좀더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임

 - 기본적으로는 필요 조건(기업과 정부의 아웃소싱 수요)이 중요하지만, 충분 조건(아웃소싱 전문 공급 업체의 존재)도 중요하며, 이런 관계에서 정부의 역할도 아웃소싱 산업 발전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됨


<그림1-3> 아웃소싱 활용의 구조

                                  시장 형성․확대


                                  경비절감․경쟁력

                                  제고         공공서비스의

           기업 경계의 변동                       효율화     

                                                           규제 완화 및 육성

                             변화


                             촉진


 -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에게 구조 조정의 수단이자 신 사업으로서, 그리고 정부에게 공공 부문의 개혁과 고용 창출 효과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아웃소싱이 관심이 커지고 있음

  ․첫째로 기존 기업 입장에서는 경기 침체의 극복, 구조 조정, 경쟁력 강화 등의 수단으로서, 그리고 벤처 기업 등 신규 창업 기업들은 초기의 높은 고정 자본 비용의 절감 수단임

  ․둘째로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서의 아웃소싱 산업(SI 분야, 인재 개발 관련, 각종 전문 대행업)이 등장하고 있음

  ․셋째로 정부는 고용 창출 산업으로서, 그리고 공공 부문의 개혁 또는 구조 조정 일환으로서 민영화 확대와 외부 조달의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음


(본 보고서의 아웃소싱 개념) 아웃소싱이란,「기업 등이 ① 핵심(core) 업무에 경영 자원의 집중, ② 전문성의 확보, ③ 비용의 삭감 등의 명확한 전략적 목적을 가지고, 조직 기능과 업무 일체(설계에서 운영까지)를 자회사 이외의 전문 공급업자에게 장기적으로 위탁하는 것」임

 - 이 개념 정의는 아웃소싱 개념의 필요 충분 조건을 최대한 살리면서, 그동안 아웃소싱의 개념과 유사하게 사용하는 다른 용어들(가령, 하청, 업무 대행, 인재 파견, 컨설팅, 분사화 등)과 구분시켜 줄 것임 

  ․다만, 제3장의「실태 조사」에서는 “어떤 특정 업무를 자회사 이외의 전문업자에게 장기적으로 위탁하는 것(부품 하청 등은 제외)”의 간략한 정의를 사용했음

  ․그러나 현실 속에서는 이러한 개념을 엄밀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새로운 개념 정의는 계속될 것이며, 현 시점에서 아웃소싱의 개념 이해를 위해서는 다음의 <아웃소싱의 범위>를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임


□ 아웃소싱의 범위


 - 아웃소싱의 개념에 관한 좀더 분명한 이해를 위해서는 아웃소싱과 그것의 유사한 개념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할 필요가 있음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을 ① 수요자 측면, ② 공급자 측면, ③ 개념 정의의 범위(광의와 협의) 등으로 해서 아웃소싱의 개념을 분명히 해보기로 함


 - (수요자 측면의 아웃소싱 범위) 아웃소싱을 「조달 자원의 형태」와 「공급 기업의 정보 보유도(조달 기업과 비교)」의 기준으로 정의하는 것으로서, 이 때 아웃소싱이란 부품보다는 프로세스의 업무를 이 분야에서 정보보유도가 높은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받는 것임(<그림 1-4>)

 ․(인재 파견) 조달 자원 형태면에서는 부품이 아니라 업무에 해당되기 때문에 아웃소싱과 유사하지만, 업무 수행 과정에 관한 노하우 축적이 아웃소싱보다 낮음

 ․(일반 시장 제품) 공급 제품에 관한 정보 보유 수준 면에서는 조달 기업 제품 수준에 버금가지만, 프로세스의 일부 부품에 불과함

 ․(외주) 조달 자원 형태에서는 주로 부품 수준, 공급 제품의 노하우 축적이 낮은 수준에 불과함


 <그림1-4> 수요자 측면에서의 아웃소싱 범위

높음

공급 기업의 정보 보유도

낮음

일반 시장 제품

아웃소싱

외주품

인재 파견․파트타임

 

부품      조달 자원의 형태       업무

         자료: 일본중소기업센터, 사단법인 뉴비지니스협의회(1997, 18)에서 재인용


- (공급자 측면의 아웃소싱 범위) 아웃소싱을「업무의 기획․설계」와 「업무의 운영」의 기준으로 정의하는 것(「하나다(花田) 모델」)으로서 이 때 아웃소싱은 공급측이 자체적으로 업무를 설계하여 운영까지 행하는 것임(<그림 1-5>)

  

 <그림1-5> 공급자 측면에서의 아웃소싱 범위(「하나다(花田)」모델)

Yes

업무의 기획․설계

No

컨설팅

아웃소싱

인재 파견

대행(외주)

 

No          업무의 운영          Yes

       자료: 花田光世, 사단법인 뉴비지니스협의회(1997, 19)


․(하청) 업무의 일부를 외부에 맡기는 것. 메이커들이 부품과 제품의 일부 제조를 외부 기업에게 발주하는 것이 포함되나, 기획 설계 등 업무의 중심 부분이 발주자측에 남는 경우가 많음

  ․(外注) 기업의 외부 자원의 활용이라는 점에서는 일치하지만, 외주는 넓은 개념이고 하청, 업무 대행, 외부로부터의 원재료 구입 등도 포함한 개념. 아웃소싱도 이 개념 가운에 포함된다는 견해도 있음

  ․(인재 파견) 업무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인적 지원이고 스스로 업무의 운영과 설계를 행하지 않고 업무 수행과 관리는 모두 발주(수요) 기업이 책임을 짐

  ․(컨설팅) 업무의 설계와 기획은 하지만, 운영은 행하지 않음

  ․(업무 대행) 결정된 설계 하에서 운영만을 행함

- (협의와 광의의 개념) 아웃소싱의 범위를 역사적․개념적인 수준에 따라 협의와 광의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 때 가장 협의로는 정보 기술 아웃소싱이며, 가장 광의는 외부 경영 자원의 활용 방식을 모두 포괄하는 것임

  ․(협의의 개념) 아웃소싱의 본격화 계기를 제공한 정보기술 아웃소싱으로 한정하는 것임. 아웃소싱 개념은 점차 다른 업무 부문까지 확대되었음

  ․(광의의 개념) 아웃소싱을 단순히 외부 경영 자원의 활용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대행, 인재파견, 외주 등 아웃소싱 유사 개념을 포괄함

  ․(현실적 수용) 본 연구에서 취하고 있는 여러 개념들은 협의의 범위와 광의의 범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음. 아웃소싱과 그것의 유사 용어들은 개념적인 수준에서는 구분 가능하나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여전히 광의의 범위를 수용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현실적인 의미에서 아웃소싱은 유사 개념들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많으며, 또는 유사 개념들을 포괄해서 ‘아웃소싱 관련 분야’로 지칭되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