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하는 말 가운데
"말이면 다 말인 줄아느냐?"는 말이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말이라고 모두 말이 아니라
경우에 합당한 말을 해야
기쁨이 되고 소망이 되고
은혜가 된다는 것입니다.
아름다운 말로 해야
진리도 빛나는 것입니다.
사실언어는 필요하기는 하지만
인간 관계를 메마르게 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감정언어는
좋은 감정을 표현하는 말이요.
사람의 마음을 기쁘게 하고
생기가 나게 하는 말입니다.
그렇다고 감정언어 만을
사용하라는말은 아닙니다.
사실언어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언어 보다는
감정언어를 많이 쓰는 사람이
성공을 만들고
행복을 누릴 수가 있는 것입니다.
서구 사회는 감정 언어가 도처에 널려있습니다.
사람을 만날 때마다
듣는 첫 소리가 바로
감정 언어입니다.
"Hi!" "Thank you!" "Sorry!" "OK!" "Very good!"
한번도 본 적이 없는 사람을 만나도
"하이!" 조금만 실수해도 "쏘리!"라고 합니다.
물건을 사지 않고 나와도점원은
"땡큐!"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이런 감정 언어가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처음 만나는 사람끼리 인사는 커녕
눈치를 살피고 멀뚱멀뚱 훑어봅니다.
길을 가다 부딪쳐도
아무 말도 안하기 일쑤입니다.
오히려 서로 못마땅한
눈으로 쳐다 보기도 합니다.
아내에게 평생 사랑한다는말
한마디 못하는 게
한국 남자들이라 합니다.
"수고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미안합니다"
"멋있습니다""잘했습니다" "최곱니다"
이런 말들이 감정 언어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자라면서 이런 말을
많이 듣지 못하고살아왔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내면의 정은 많으나
딱딱하고 비판적일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감정 언어를 많이 듣고 살면
사람의 마음이 부드러워지고, 긍정적이고
관용적이며 따뜻한 사람이 됩니다.
감정언어가 바른 부부 관계를 세웁니다.
인간 관계를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중요합니다.
미국 카톨릭대학의
클리프 노타리우스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100년해로한 부부나 파경을 맞은 부부나
부부싸움을 하는 것은 별차이가 없었다고 합니다.
다만 서로 주고받는언어에
현격한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행복한 부부는 감정 언어를 많이 구사하는 반면
실패한 부부는 100마디중 10마디가
마음을 아프게 하는
언어를 구사했다는 것입니다.
미국 시카고 가정 법원의
조지 사바스 판사는
가정 법원 판사로
이혼을 청구한 많은 가정을
화해시키기로 유명한 사람입니다.
그의 사례에 의하면
가정의 파경은 아주 작은 일에서
시작된다고 합니다.
그는 남편이 직장에나갈 때 문밖에서
"잘 다녀오세요"하고 인사를 나누고
또 돌아와서도 "잘 다녀오셨어요?" 하고 맞이하며
부부간에 다정한 말 한마디를
하루 몇 번만 나눈다면
가정 불화는 사라질 것이라고
충고 하고 있습니다.
'마인드up 스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유부단한 나를 바꾼 7Habits (0) | 2008.02.18 |
---|---|
너무 쉽게 포기하지 마라 (0) | 2008.02.18 |
가장 아름다운 시간 (0) | 2008.02.18 |
프로로 인정받기 위한 근무년수는 '5년' (0) | 2008.02.17 |
숭례문 전소 사건이 주는 교훈 (0) | 2008.02.16 |